조선로동당 (당신들의 조선)

벨지엄 솔피 박영환 얏슈
[ 문서 보기 ]
[ 세계관 설명 ]
[ 세계관 설명 ]
에헤 에야차! 에야차!
로동당기발 따라 나가자!
에헤 에야차! 에야차!
로동당기발 따라 나가자!


당신들의 조선은 "만일 북한이 한반도를 통일했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당신들의 조선의 공식 설정입니다. 관계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 펼치기 · 접기 ]
2022.12.13. ~ 2027.12.14.
여당

 NN석 1392석 
우(友)당

 N석 86석 
 N석 24석 
 N석 14석 
무소속
 N석 41석 
재적
 91석 1557석 
좌측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의석 수, 우측은 최고인민회의 의석 수
조선의 공산주의 정당
북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현재
남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영문 명칭 Workers' Party of Korea
약칭 WPK, 로동당,
표어 모든 인민의 승리의 조직자이며
향도자인 조선로동당 만세!

전 세계 근로자들은 단결하라!
창당 1945년 10월 10일 (78주년)[1][2]
당명 변경 1946년 6월 22일 (북조선공산당)
1946년 8월 28일 (북조선로동당)
1949년 6월 30일 (조선로동당)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서울시 중구역 경복궁로 161
(광화문동, 중앙위원회 본부청사)
이념 공산주의
박헌영주의
권위주의
사회보수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내부 계파:
기술관료제 (무역성파)
마르크스-레닌주의 (소련파)
정약용 사상 (갑산파)
진보주의 (사로청)
역사적:
반제국주의 (1945~1982)
국제주의 (1945~1991)
마르크스주의 (1945~1956)
마오주의 (1945~1956)
정치적 스펙트럼 명목: 극좌

실질: 혼합정치
총비서 최룡해
제1비서 김덕훈
정치국 위원 최룡해 (중앙위 총비서)
김덕훈 (중앙위 제1비서)
박형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최재형 (중앙검사위 위원장)
김승겸 (중앙군사위 제1부위원장)
조용원 (중앙위 조직비서)
추경호 (정무원 제1부총리)
최고인민회의 1,392석 / 1,539석 (89.4%)
상임위원회 의석 수 [ 펼치기 · 접기 ]
NN석 / 91석 (NN.NN%)
도급행정구역장 17석 / 18석 (94.44%)
시급행정구역장 N,NNN석 / N,NNN석 (NN.NN%)
당 색
홍색 (#E40001)
황색 (#FED11E)
당보 "로동신문" (勞動新聞)
정책연구소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책연구소
청년조직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 조선소년단
여성조직 조선민주녀성동맹
농민조직 조선농업근로자동맹
노동조합 조선직업총동맹
무장조직 조선인민군, 로농적위군
재외국민조직
교육조직 조선로동당 중앙간부학교
국제조직
국내조직
정당원 수 7,816,303명 (2024년 1월 기준)
후보당원 수 451,001명 (2024년 1월 기준)
당기
당가 인터나쇼날[3]

개요

조선로동당 제16차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는 윤석열 중앙검사위원장

조선의 집권 여당이자 조선 건국 이래 78년 간 단 한 번도 정권을 내어준 적이 없는 독재 정당.

상징

당명

  • 조선어: 조선로동당
    • 두음법칙 적용: 조선노동당

  • 영어: Workers' Party of Korea

  • link중국어 중국어
    • 간체자: 朝鲜劳动党
    • 번체자: 朝鮮勞動黨
    • 표준중국어 발음
      • 한어병음: Cháoxiān Láodòngdǎng
      • 조선문자 표기: 챠오셴 라오동당
      • 조선어 한자음: 조선로동당

  • 일본어
    • 신자체 한자 사용: 朝鮮労働党
    • 구자체 한자 사용: 朝鮮勞動黨
    • 발음 표기
      • 가나 표기법: ちょうせんろうどうとう
      • 로마자 표기법: Chosen Rōdōtō
      • 조선문자 표기: 쵸센 로도토

  • 러시아어
    • 키릴 문자: Трудовая партия Кореи
    • 발음 표기
      • 로마자 표기법: Trudovaya partiya Korei
      • 조선문자 표기: 트루도바야 파르티야 카레이

당마크 및 당기

조선로동당의 당마크
당마크는 마치와 낫, 붓이 한곳에서 교차되게 그려진 조선로동당의 상징적 표식이다.
당마크는 조선로동당이 조직사상적으로 굳게 뭉친 로동자, 농민, 지식인을 비롯한 근로인민대중의 전위부대이며
인민대중속에 깊이 뿌리박고 인민대중의 요구와 리익을 위하여 투쟁하는 혁명적이며 대중적인 당이라는 것을 상징한다.
조선로동당의 당기
당기는 붉은색 기폭의 중심에 노란색 당마크가 새겨져 있는 조선로동당의 상징적 기발이다.
당기는 맑스-레닌주의와 우리식사회주의를 지도사상으로 하고 혁명전통을 순결하게 이어나가며 전체 인민을 당두리에 굳게 묶어세워
혁명위업을 끝까지 완성해나가는 조선로동당의 혁명적이며 대중적인 성격과 불굴의 의지, 투쟁정신을 상징한다.
[ 역대 당기 펼치기 · 접기 ]

1946년~1949년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쓰인 남조선로동당의 당기이다.

1946년~1949년
1946년부터 1949년까지 쓰인 북조선로동당의 당기이다.

당가

인터나쇼날

여느 공산주의 정당이 그렇듯 인터내셔널가를 당가로 사용하고 있다. 조선어로는 인터나쇼날.

이 외에도 1980년에 안호근이 작사하고 엄호진이 작곡한 조선로동당 만세, 1985년 조선로동당 창당 40주년을 기념하여 최준경이 작사하고 김동철이 작곡한 높이 날려라 우리의 당기도 준(準)당가로써 각종 당 행사에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조선로동당 제16차대회의 폐회식에선 인터내셔널가를 연주하던 기존의 관례를 깨고 이례적으로 높이 날려라 우리의 당기를 연주한 바 있다.

당사

중앙위원회 본부청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

구 경복궁 흥복전과 강녕전이 있던 터 일대에 세워진 조선로동당의 중앙위원회 본부청사. 중앙위원회 총비서가 주로 이곳에서 당무를 보며 전원회의를 비롯한 각종 당 회의가 이곳에서 열린다. 명목상 중앙당사는 당무를 보는 곳이기에 원칙 상 정무는 중앙당사 바로 앞에 소재한 중앙청에서 보는 것이 맞지만 업무상 편의 등 여러 이유들로 인해 일반적으로 총비서는 이곳 본부청사에서 당무와 본인이 겸직하고 있는 국가요인의 정무 모두를 본다.

6.28문화회관

6.28문화회관

서울시 승전대로의 왼편에 위치한 4,000석 규모의 거대 공연장. 1970년 서울 해방 20주년을 기념하며 지어졌으며 조선로동당 당대회,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 대회와 같은 당 내 중요한 행사는 대부분 이곳에서 열린다. 당 행사가 아니더라도 연극, 오페라, 오케스트라 등 각종 민간 문화행사도 이곳에서 열린다.

역사

창당 이전(1945-1949)

북로당과 남로당

북조선로동당 마크, 조선로동당 마크의 구성과 동일하다.

조선로동당으로 통합

김일성·박헌영 시기(1949-1973)

김일성 위원장

8월 종파사건

박헌영 위원장

개혁개방 시기(1973-2003)

박헌영과 남로당의 독주

강성산 총비서

현재(2003-)

박봉주 총비서

최룡해 총비서

계파

의 계파 분류
[ 펼치기 · 접기 ]

조선로동당은 공식적으론 마르크스-레닌주의의 당 조직 원칙에 따라 종파주의를 경계하며 공식적으로 당 내에는 그 어떠한 계파도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으나 그 내부에는 사상과 인맥 등으로 이루어진 비공식 계파들이 여럿 존재한다.

이웃국가이자 같은 공산국가인 중국공산당도 이와 비슷하게 파벌이 여럿 나뉘어져 있지만 조선로동당 내 파벌은 중국보다는 일본과 그 체계가 흡사하다. 꽌시(关系)라는 인맥이 큰 역할로 작용하며 명확하게 나눠지지 않고 1명이 2~3개의 파벌에 걸쳐있는 경우도 존재하는 중국과는 달리 이들은 그 계파 내에 확실하게 존재하는 보스 아래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등 중국보다 더욱 체계적인 계파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당 내 중도파들의 연합에 가까운 갑산파를 제외하면 다들 그 사상과 이념도 계파마다 명확하게 나뉘어지고 있다. 중국공산당의 계파가 인맥으로 뭉쳤다면 조선로동당의 계파는 사상으로 뭉쳤다고 할 수 있을 정도.

조선로동당은 내부에서 크게 5개의 계파로 나뉘어지며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

  • 해방 이후 소련에서 파견한 고려인과 이들의 후손, 당 내에서 친소·친러적 사상을 가진 이들, 정통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신봉하는 이들이 조직한 소련파.
  • 조선 초대 국가주석을 지낸 박헌영의 사상에 동조하는 이들과 남조선 출신의 이들이 조직한 남로당파.
  •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 출신과 당 내 비교적 젊은 정치인, 당 내에서 진보적 사상을 가진 이들이 조직한 사로청파(社勞靑派).
  • 과거 조선반도 내에서 빨치산 활동을 한 이들과 이들의 후손들, 당 내에서 중도적 사상을 가진 이들이 조직한 갑산파.
  • 과거 중국 내에서 빨치산 활동을 한 이들과 이들의 후손들, 당 내에서 친중적 사상을 가진 이들이 조직한 연안파.

과거에는 초대 내각수상이었던 김일성을 중심으로 한 만주파라는 계파도 존재했다. 갑산파와 비슷하게 만주와 북조선 등지에서 빨치산 활동을 한 이들을 중심으로 조직된 만주파는 소련이라는 듬직한 뒷배가 있던 김일성을 중심으로 뭉쳐 조선로동당 창당 직후부터 50년대 중후반까지 그 위세를 떨치곤 했다.

그러나 만주파는 김일성의 50년대에 시행한 여러 정치·군사적 실책으로 인민의 지지를 잃게 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공산권 내에서도 유독 도드라지는 독자노선 경향을 보여 50년대 중후반에 들어선 김일성은 완전히 소련의 눈 밖에 나게 되었다. 결국 1956년 김일성과 만주파에 불만을 가지고 있던 당 내 비(非)김일성 계파들이 소련의 지원을 등에 업은 뒤에 연합 공세를 벌여 김일성은 결국 위원장 직책에서 쫓겨나게 되었으며 박헌영남로당파가 정권을 잡은 이후론 김일성을 비롯한 만주파 일대가 대규모 숙청을 당하게 되어[4] 6~70년대에 들어서면 계파가 완전히 와해되는 최후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들의 잔당들은 후일 만주파의 방계격이었던 계파인 갑산파로 합류하게 되었다.

이후 1950년대 중후반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는 남로당파를 우위로 하여 허가이소련파를 중심으로 뭉친 비박헌영 계파들 간의 상호 견제 하에 당이 굴러갔으나 그 세력을 점점 더 불리던 비박헌영 계파들의 권력 찬탈을 우려한 박헌영이 197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을 제정하면서 내각수상으로 재임하던 허가이를 비롯한 내각의 소련파들을 완전히 쳐냈으며 1973년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이후론 소련파의 잔당들을 비롯하여 연안파와 같은 사대주의적 세력들과 비박헌영 계파들을 완전히 당에서 축출시켜 남로당파 독주 체계가 구축되었다. 이러한 흐름은 1983년 박헌영의 정계 은퇴 이후 후임 총비서로 재임하게 된 강성산에게 완전히 당의 주도권이 계승된 조선로동당 제11차대회까지 이어졌다.

박헌영의 뒤를 이어 당의 총비서가 된 강성산은 1993년 제11차대회를 기점으로 하여 박헌영의 영향력에서 완전히 벗어나 당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박헌영이 비박헌영 계파들을 당에서 완전히 쳐낸 뒤 규약 개정을 통해 남로당파 주도체계를 완전히 확립시킨 뒤 당권을 잡은 뒤의 강성산은 박헌영이 했던 만큼의 계파 견제가 이제는 불필요하다고 판단, 박남기, 김영남을 비롯한 극소수의 소련파 잔당들과 강성산의 신사고정책을 이끄는 사실상의 주체와도 같았던 무역성의 일부 관료들, 당의 청년조직인 사로청을 의도적으로 키워주며 남로당파의 영도를 전제로 한 나름대로의 상호 견제 체제의 기반을 다쳤으며 이러한 상호 견제 체제는 박봉주 체제 이후 당에 완전히 자리잡게 되었다.

조선로동당규약

지도부


조선로동당 수반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당중앙위원회 총비서
최룡해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위  원 겸 중앙위원회 총비서
겸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겸 국가주석
겸 중앙인민위원장
최룡해
겸 중앙위원회 제1비서
겸 정무원총리
김덕훈
겸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박형준
겸 중앙검사위원장 최재형
겸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위원장
겸 민족보위상
김승겸
겸 조직비서
겸 조직지도부장
조용원
겸 정무원 제1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장
추경호
후보위원
당중앙위원회 비서국
제1비서
조직비서 사상비서
군사비서 규률비서
근로비서 경제비서
교육비서 문화비서
전문부서
조직지도부장
선전선동부장
군정지도부장
근로단체부장
규률조사부장
국제부장
간부부장
법무부장
공업부장
농업부장
통일전선부장
민방위부장
경제부장
과학교육부장
재정경리부장
문화예술부장
총무부장
경제정책실장
문서정리실장
정책연구소장
당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최룡해 부위원장
위 원
당중앙검사위원회
위원장 부위원장
위 원
대표자 책임주필


◀역대 수반

당대회

조선로동당대회(朝鮮勞動黨大會), 약칭 당대회(黨大會)는 조선로동당규약에서 규정된 조선로동당의 최고지도기관으로 일반적으로 5년에 1번씩 개최된다.

당대회는 약 2개월 동안 선출된 5,000여명에서 6,000여명의 결의권대표자와 300여명의 발언권대표자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당대회에서 결의권을 갖는 결의권대표자는 각 지역의 당의 세포조직 내에서 선출하며 발언권만 주어지는 발언권대표자는 후보당원 중에서 선출한다. 가장 최근에 진행되었던 당대회에선 당원 1,300명 당 1명 비율로 결의권대표자가, 후보당원 1,300명 당 1명 비율로 발언권대표자가 선출되었다.

역대 당대회


역대 당대회
북조선로동당
제1차(1946년) 제2차(1948년)
조선로동당
제3차(1953년) 제4차(1958년) 제5차(1963년) 제6차(1968년)
제7차(1973년) 제8차(1978년) 제9차(1983년) 제10차(1988년)
제11차(1993년) 제12차(1998년) 제13차(2003년) 제14차(2008년)
제15차(2013년) 제16차(2018년) 제17차(2023년) 제18차(2028년)

중앙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朝鮮勞動黨中央委員會), 약칭 당중앙위원회(黨中央委員會)는 당대회가 폐회 중인 기간 동안 당의 최고지도기관으로 기능하는 기관이며 조선로동당 당대회에서 이를 선출한다.

중앙위원회 총비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총비서(朝鮮勞動黨中央委員會總秘書), 약칭 당중앙위원회 총비서(黨中央委員會總秘書)는 조선로동당의 수반이다.

역대 조선로동당 수반
조선로동당 수반
이름 임기 재임일수 당대회 비고
취임일 퇴임일
1

김용범
(1902 ~ 1947)
1 1945년 10월 13일 1945년 12월 18일 66일 [5]
2

김일성
(1912 ~ 1956)
2 1945년 12월 18일 1946년 8월 31일 256일 [6]
3

김두봉
(1889 ~ 1970)
3 1946년 8월 31일 1948년 8월 31일 2년 1일 1차
4 1948년 8월 31일 1949년 7월 1일 304일 2차
2

김일성
(1912 ~ 1956)
5 1949년 7월 1일 1953년 4월 29일 3년 303일
6 1953년 4월 29일 1956년 8월 30일 3년 124일 3차
4

박헌영
(1900 ~ 1995)
7 1956년 8월 30일 1958년 9월 6일 2년 7일
8 1958년 9월 6일 1963년 8월 31일 4년 359일 4차
9 1963년 8월 31일 1968년 8월 31일 5년 1일 5차
10 1968년 8월 31일 1973년 9월 1일 5년 1일 6차
11 1973년 9월 1일 1978년 9월 2일 5년 1일 7차
12 1978년 9월 2일 1983년 9월 3일 5년 1일 8차
5

강성산
(1931 ~ 2011)
13 1983년 9월 3일 1988년 9월 3일 5년 1일 9차
14 1988년 9월 3일 1993년 9월 4일 5년 1일 10차
15 1993년 9월 4일 1998년 9월 5일 5년 1일 11차
16 1998년 9월 5일 2003년 9월 6일 5년 1일 12차
17 2003년 9월 6일 2008년 9월 6일 5년 1일 13차
6

박봉주
(1939 ~ )
18 2008년 9월 6일 2013년 9월 7일 5년 1일 14차
19 2013년 9월 7일 2018년 9월 1일 4년 359일 15차
7

최룡해
(1950 ~ )
20 2018년 9월 1일 2023년 9월 2일 5년 1일 16차
21 2023년 9월 2일 2028년 9월 6일
(예정)
5년 5일
(예정)
17차

중앙위원회 정치국

[ 펼치기 · 접기 ]
서열순
1위
최룡해
(총비서)
2위 3위 4위
김덕훈
(제1비서)
박형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최재형
(중앙검사위원장)
5위 6위 7위
김승겸
(중앙군사위원회 제1위원장)
조용원
(조직비서)
추경호
(제1부총리 겸 국가계획위원장)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제16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 (제18기)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朝鮮勞動黨中央委員會政治局), 약칭 당중앙위원회 정치국(黨中央委員會政治局)은 중앙위원회의 하부 기관 중 하나다.

당대회의 폐회 기간 동안은 전원회의(全員會議)라고 불리우는 모든 중앙위원이 참석하는 회의에서 일반적으로 당무를 처리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회의도 필요할 때 마다 즉각적으로 소집하기 힘든 만큼 전원회의가 개최되지 않는 기간 동안 당무를 처리할 기관이 필요한데 그 역할을 당대회의 최고주권을 위임받은 정치국이 도맡는 것이다.

정치국은 위원과 후보위원으로 구성되며 현재 정치국 위원은 최룡해, 김덕훈, 박형준, 최재형, 김승겸, 조용원, 추경호 총 7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위원회 비서국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朝鮮勞動黨中央委員會秘書局), 약칭 당중앙위원회 비서국(黨中央委員會秘書局)은 중앙위원회의 하부 기관 중 하나다.

중앙검사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검사위원회 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조선로동당 중앙검사위원회(朝鮮勞動黨中央檢査委員會), 약칭 당중앙검사위원회(黨中央檢査委員會)는 조선로동당의 중앙조직 중 하나다.

중앙검사위원회는 당 규약과 기타 규약, 헌법, 기타 법률 등을 수호하고 당의 노선 방침과 기타 결의 및 집행 상황을 감독하며 당정 공직자의 부패 상황을 감독 및 검사하는 등 여러모로 중국공산당의 중앙기율검사위원회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검사위원회는 위원장과 위원으로 구성되며 현재 중앙검사위원회 위원장은 최재형이다.

중앙군사위원회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每个共产党员都应懂得这个真理:“枪杆子里面出政权”。
모든 공산당원들은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라는 이러한 진리를 이해해야 한다.

마오쩌둥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朝鮮勞動黨中央軍事委員會), 약칭 당중앙군사위원회(黨中央軍事委員會)는 조선로동당의 중앙조직 중 하나다.

마르크스는 국가가 소유한 군대를 프롤레타리아와 인민을 탄압하는 일종의 국가의 충신으로 간주하고 이를 비판했다. 그리고 그는 이에 대한 방침으로 '프롤레타리아가 조직한 자경단'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는데 이 개념이 현재 공산국가의 인민군 개념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그리고 조선도 이러한 마르크스의 인민군 개념에 따라 군을 국가에서 소유하는 것이 아닌 당이 소유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조선인민군 문서 참고.

이러한 마르크스의 방침에 따라 조선의 국방을 관장하는 조선인민군은 당의 무력을 관할하는 중앙군사위원회의 지도를 받으며 여기에 더불어 기존 소련의 인민총동원전 교리에 따라 중앙군사위원회는 일반적인 군사력만이 아닌 경찰력, 민병대 등 조선 내 모든 무력을 총괄 및 지도하는 기관으로 사실상 조선의 모든 총칼을 당이 원하는 대로 조종하게 하는, 당 내에서도 특히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는 기관이다. 이 때문에 조선로동당규약에선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을 조선로동당 총비서가 당연직으로 겸임하도록 되어있다.

중앙군사위원회는 위원장과 위원으로 구성되며 현재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은 최룡해이다.

하위 조직

청년조직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社會主義勞動靑年同盟), 약칭 사로청(社勞靑)은 조선로동당의 청년조직으로 만 14세부터 30세까지의 청년들이 가입하는 단체다.

1945년 10월 28일 조선반도 이북의 5개 도에서 최초로 청년대표대회가 열려 공산주의 청년단체의 조직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이듬해인 1946년 1월 16일엔 북부조선민주주의청년단체대표자회의를 개최했으며 그 다음날인 1월 17일 북조선민주청년동맹을 결성하였다. 이후 남조선의 공산주의 청년단체인 남조선민주청년동맹과의 통합이 논의되기 시작했으며 마침내 조선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1년 1월에 개최된 남북조선민주청년동맹 중앙위원회 연합회의에서 양측의 통합이 확정, 조선반도를 아우르는 공산주의 청년단체인 조선민주청년동맹이 출범하였다. 이후 1964년 5월 12일 제5차대회에서 현재의 명칭인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현재 사회주의로동청년동맹 위원장은 ○○○이다.

조선소년단

조선소년단(朝鮮少年團), 약칭 소년단(少年團)은 조선로동당의 학생조직으로 만 8세부터 14세까지의 소년들이 가입하는 단체다.

무장조직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朝鮮人民軍)은 조선로동당의 당군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로농적위군

로농적위군(勞農赤衛軍)은 조선로동당의 예비군이다.

근로조직

조선민주녀성동맹

조선민주녀성동맹(朝鮮民主女性同盟), 약칭 녀맹(女盟)은 조선로동당의 여성조직이다.

1945년 11월 18일 북조선민주녀성동맹이란 이름으로 처음 결성되었으며 창립 직후엔 북조선 내 봉건주의 잔재 타파와 여성의 국가사업 참여 확대를 주된 사업으로 하여 활동하였다. 조선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1년 1월 20일엔 남북조선여성동맹 합동중앙위원회를 개최, 남조선에서 활동하던 여성단체인 남조선민주녀성동맹과 통합하여 현재의 조선민주녀성동맹이 탄생하였다.

현재 조선민주녀성동맹 위원장은 허명이다.

조선농업근로자동맹

조선농업근로자동맹(朝鮮農業勤勞者同盟), 약칭 농근맹(農勤盟)은 조선로동당의 농민조직이다. 일종의 농민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조선직업총동맹

조선직업총동맹(朝鮮職業總同盟), 약칭 직맹(職盟)은 조선로동당의 직업조직이다. 일종의 노동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싱크탱크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책연구소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책연구소(朝鮮勞動黨中央委員會政策硏究所), 약칭 당중앙위원회 정책연구소(黨中央委員會政策硏究所)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산하에 있는 싱크탱크다.

중앙정책연구소는 중앙위원회의 업무보고서 초안과 주요 연설문 초안을 작성하고 정치 사상과 내각 정책의 타당성을 검토하며 중앙위원회의 대규모 문서 작성에 참여하고 세계 경제 정세 등을 조사, 파악, 수집, 분석, 정리하여 현 세계 경제 종합정보 및 동향을 파악해 이러한 보고서를 토대로 중앙위원회의 의사 결정을 위한 제안 및 이에 자문하는 역할 등을 맡고 있다. 한 마디로 조선로동당의 정책두뇌와 같은 존재.

현재 중앙정책연구소장은 박수영이다.

교육조직

조선로동당 중앙간부학교

조선로동당 중앙간부학교(朝鮮勞動黨中央幹部學校), 약칭 당중앙간부학교(黨中央幹部學校)는 조선로동당이 관리하는 특수 교육기관이다.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에서 직속으로 관리하는 중앙간부학교는 당의 지도간부와 마르크스주의와 같은 공산주의 이론을 학습시키는 이론간부 등이 투입되어 조선로동당의 엘리트 간부들을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특수 교육기관이지만 이곳에서 획득한 학위는 일반 대학에서 획득한 학위와 동일한 취급을 받는다.

현재 중앙간부학교장은 ○○○이다.

해외조직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在日本朝鮮人総聯合会), 약칭 조선총련(朝鮮総聯) 혹은 총련(総聯)은 재일 조선인들의 이권과 권리 등을 대변하는 일본의 정치 단체다.

역대 선거 결과

타 정당과의 관계

국내 정당

국외 정당

여담

둘러보기

조선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 정치 · 군사 ]
상징
정치 · 행정
선거
외교
군사
사법 · 치안
[ 역사 ]
[ 역사 ]
국가
사건
기타
[ 사회 · 경제 ]
[ 사회 · 경제 ]
경제
지리
사회
언어
과학 · 기술
교육
교통
[ 문화 ]
[ 문화 ]
예술
음식
종교
스포츠
[ 기타 ]
[ 기타 ]
기타

공산주의
[ 이념 전반 ]
[ 이념 전반 ]
분파 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박헌영주의 · 마오주의(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사회적 아나키즘 · 자율주의

그 외: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기독교 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 · 프랑수아 노엘 바뵈프 · 루이 오귀스트 블랑키 · 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강성산 · 푸슈파 카말 다할 · 카드가 프라사드 올리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헨크 스네블리에트 · 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헬렌 켈러 · 김알렉산드라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레닌주의 ·
틀:스탈린주의 (당신들의 조선)
스탈린주의 ·
마오주의
[ 정당 · 조직 ]
[ 정당 · 조직 ]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중국 · 일본공산당 일본 · 노동자공산당 일본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일본 · 조선로동당 조선 (당신들의 조선)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스 · 인도네시아 공산당 인도네시아 · 버마 공산당 미얀마 · 와방연합당 · 네팔 공산당 네팔 · 인도 공산당 인도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인도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방글라데시 · 팔레스타인 인민해방전선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팔레스타인 · 이스라엘 공산당 이스라엘 · 예멘 사회당 예멘 · 몽골 인민당 몽골 · 카자흐스탄 인민당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유럽 프랑스 공산당 프랑스 · 스페인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이탈리아 · 포르투갈 공산당 포르투갈 · 그리스 공산당 그리스 · 튀르키예 공산당 튀르키예 · 튀르키예 노동자당 튀르키예 · 노동인민진보당 키프로스 · 독일 공산당 독일 · 오스트리아 공산당 오스트리아 · 벨기에 노동당 벨기에 · 스위스 노동당 스위스 · 연대 스위스 · 이윤 이전에 인민 아일랜드 · 적색당 노르웨이 · 적록동맹 덴마크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체코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몰도바 · 벨라루스 공산당 벨라루스 · 러시아 공산당 러시아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러시아 · 사회당 네덜란드 · 헝가리 사회당 헝가리
아프리카 남아프리카 공산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 경제자유투사당 남아프리카 공화국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기니비사우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상투메 프린시페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앙골라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앙골라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애국전선 짐바브웨 · 콩고 노동당 콩고 공화국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에티오피아
아메리카 미국 공산당 미국 · 혁명공산당 미국 · 캐나다 공산당 캐나다 · 쿠바 공산당 쿠바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니카라과 · 베네수엘라 공산당 베네수엘라 · 인민진보당 가이아나 · 자유페루 페루 · 브라질 공산당 브라질 · 사회주의자유당 브라질 · 칠레 공산당 칠레 · 에콰도르 공산당-붉은 태양 에콰도르 · 에콰도르 공산당 에콰도르 · 우루과이 공산당 우루과이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엘살바도르
볼드체 :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해체된 정당
아시아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제주 (당신들의 조선)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말레이시아 · 캄푸치아 공산당 · 대만 공산당
유럽 소련 공산당 소비에트 연방 · 세르비아 공산당 세르비아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연합노동자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영국 공산당 영국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튀르키예 공산당(1920년) 튀르키예 · 호주 공산당 호주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세계반제플랫폼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 국가 ]
[ 국가 ]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조선
·

중국
·

쿠바
·

베트남
·

라오스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가이아나
·

네팔
·

방글라데시
·

벨라루스
·

세르비아
·

스페인
·

아르헨티나
·

이탈리아
·

칠레
·

콜롬비아
·

페루
·

브라질
★ : 연립정부의 구성원으로 집권한 국가
붕괴된 국가

파리 코뮌
·

소련
·

유고슬라비아
·

폴란드
·

헝가리
·

체코슬로바키아
·

동독
·

불가리아
·

루마니아
·

알바니아
·

몽골
·

아프가니스탄
·

남예멘
·

모잠비크
·

앙골라
·

에티오피아
·

크메르 루주 정권
·

캄푸치아
·

베냉
·

콩고
·

소말리아
틀:스탈린주의 (당신들의 조선)
스탈린주의
[ 펼치기 · 접기 ]
박헌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 조선로동당의 전신과도 같은 당인 조선공산당의 예비회의 개최일이다.
  2. 단 조선로동당의 실질적인 전신인 북조선분국 설치일은 동년 10월 13일이다.
  3. 조선로동당 만세, 높이 날려라 우리의 당기도 준당가로 취급받는다.
  4. 그러나 이들 중에선 라인을 잘 타 정치적 생명을 보존한 이들도 대거 존재하는데 김일성의 스승과도 다름없던 김책, 김일성의 빨치산 동료 최현. 김일성의 동생(!)인 김영주가 만주파에서 탈주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5. 서북5도당책임자및열성자대회에서 선출.
  6.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제3차확대집행위원회에서 선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