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크 루카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마르크스를 위하여}} {{ARR 선정 라트 연방의 인물}}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CC0000; max-width:420px; float:right;"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글씨 크기|15|게오르크 루카치}}<br>Georg Lukacs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420px</div> |- ! width=100px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본명 | '''죄르지 루카치'''<br>{{...)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마르크스를 위하여}}
{{마르크스를 위하여}}
{{역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장}}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165096;"
! style="background:#165096; color: #fff;" | 게오르크 루카치 관련 둘러보기 틀
|-
|
<div class="mw-customtoggle-KM3S" style="text-align: center; margin-top: -2px">'''[ 펼치기 · 접기 ]'''</div>
<div id="mw-customcollapsible-KM3S"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0px 0px">
{| style="font-size:11pt; 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background:#fff; color: #000" class="dark:bg-evewiki-010"
|-
| style="border:none;" |
----
{{ARR 선정 라트 연방의 인물}}
{{ARR 선정 라트 연방의 인물}}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CC0000; max-width:420px; float:right;"
----
{{마르크스주의}}
----
{{공산주의 (맑스)}}
----
{{라트 연방 관련 문서}}
----
|}</div></div>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165096; max-width:420px; float:right;"
|-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글씨 크기|15|게오르크 루카치}}<br>Georg Lukacs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165096; color:#fff;" | 제3-4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장<br>{{글씨 크기|15|게오르크 루카치}}<br>Georg Lukacs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루카치.jpg|420px]]</div>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루카치.jpg|420px]]</div>
|-
|-
! width=100px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본명
! width=100px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본명
| '''죄르지 루카치'''<br>{{글씨 크기|9|''(György Lukács)''}}
| '''죄르지 루카치'''<br>{{글씨 크기|9|''(György Lukács)''}}
|-
|-
! width=100px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이명
! width=100px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이명
| '''세게딘 남작 루카치, 게오르크 베나르트'''<br>{{글씨 크기|9|''(Georg Bernard Baron Lukács von Szegedin)''}}
| '''세게딘 남작 루카치, 게오르크 베나르트'''<br>{{글씨 크기|9|''(Georg Bernard Baron Lukács von Szegedin)''}}
|-
|-
! width=100px rowspan="2"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출생
! width=100px rowspan="2"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출생
| [[1885년]] [[4월 13일]]
| [[1885년]] [[4월 13일]]
|-
|-
| {{테두리|[[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28px|link=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스라이타니아]] [[부다페스트]]
| {{테두리|[[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28px|link=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스라이타니아]] [[부다페스트]]
|-
|-
! rowspan="2"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사망
! rowspan="2"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사망
| [[1971년]] [[6월 4일]] (향년 86세)
| [[1971년]] [[6월 4일]] (향년 86세)
|-
|-
| [[파일:운가른 RSR 국기.svg|28px|link=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 [[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헝가리 SRR]] [[부다페스트]]
| [[파일:운가른 RSR 국기.svg|28px|link=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 [[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헝가리 SRR]] [[부다페스트]]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국적
!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국적
| {{테두리|[[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28px|link=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글씨 크기|9|({{테두리|[[파일:헝가리 국기.svg|28px|link=트란스라이타니아]]}} [[트란스라이타니아]])}}<br>→ {{테두리|[[파일:라트 연방 국기.svg|28px|link=라트 연방]]}} [[라트 연방]] {{글씨 크기|9|({{테두리|[[파일:운가른 RSR 국기.svg|28px|link=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 [[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헝가리 SRR]])}}
| {{테두리|[[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28px|link=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글씨 크기|9|({{테두리|[[파일:헝가리 국기.svg|28px|link=트란스라이타니아]]}} [[트란스라이타니아]])}}<br>→ {{테두리|[[파일:라트 연방 국기.svg|28px|link=라트 연방]]}} [[라트 연방]] {{글씨 크기|9|({{테두리|[[파일:운가른 RSR 국기.svg|28px|link=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 [[헝가리 라트 사회주의 공화국|헝가리 SRR]])}}
|-
|-
! rowspan="4"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재임기간
! rowspan="4"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재임기간
| class="dark:bg-evewiki-020" style="background:#f5f5f5;" | 제3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장 {{글씨 크기|9|(장관급)}}
| class="dark:bg-evewiki-020" style="background:#f5f5f5;" | 제3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장 {{글씨 크기|9|(장관급)}}
|-
|-
35번째 줄: 56번째 줄:
| [[1949년]] [[9월 1일]] ~ [[1952년]] [[12월 31일]]
| [[1949년]] [[9월 1일]] ~ [[1952년]] [[12월 31일]]
|-
|-
! width=100px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부모
! width=100px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부모
| 아버지 뢰빙게르 요제프
| 아버지 뢰빙게르 요제프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학력
!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학력
| [[콜로스바르 헝가리 왕립 대학교]] {{글씨 크기|9|([[철학]] / 박사)}}<br>[[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베를린 캠퍼스|베를린 대학교]] {{글씨 크기|9|([[철학]] / 박사)}}<br>[[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부다페스트 캠퍼스|헝가리 왕립 대학교 부다페스트]] {{글씨 크기|9|([[철학]] / 박사)}}
| [[콜로스바르 헝가리 왕립 대학교]] {{글씨 크기|9|([[철학]] / 박사)}}<br>[[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베를린 캠퍼스|베를린 대학교]] {{글씨 크기|9|([[철학]] / 박사)}}<br>[[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부다페스트 캠퍼스|헝가리 왕립 대학교 부다페스트]] {{글씨 크기|9|([[철학]] / 박사)}}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종교
!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종교
| [[유대교]] → [[루터교]] → [[무종교]] {{글씨 크기|9|([[무신론]])}}
| [[유대교]] → [[루터교]] → [[무종교]] {{글씨 크기|9|([[무신론]])}}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소속 정당
!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소속 정당
| {{라트 연방 사회민주당}}
| {{라트 연방 사회민주당}}
|-
|-
! style="background:#CC0000; color:#FFD700;" | 사상
! style="background:#165096; color:#fff;" | 사상
| [[신칸트주의]] → [[마르크스-룩셈부르크주의]]
| [[신칸트주의]] → [[마르크스-룩셈부르크주의]]
|-
|-

2024년 10월 11일 (금) 00:33 기준 최신판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
소장 (장관급)
[ 펼치기 · 접기 ]
초대
카를 카우츠키
(1922~1935)
제2대
오토 바우어
(1935~1945)
제3대
게오르크 루카치
(1945~1946)
대행
프리드리히 아들러
(1946~1949)
제4대
게오르크 루카치
(1949~1952)
제5대
에른스트 블로흐
(1952~1957)
제6대
발터 벤야민
(1957~1961)
제7대
아르투어 바움가르텐
(1961~1964)
제8대
테오도어 아도르노
(1964~1969)
대행
루가르트 오토 그로프
(1969~1970)
제10대
막스 호르크하이머
(1970~1973)
대행·제11대
루가르트 오토 그로프
(1973~1976)
대행
한스 하인츠 홀츠
(1976~1979)
제12대
고트프리트 슈틸러
(1979~1986)
제13대
알프레트 코징
(1986~1989)
제14대
에리히 한
(1989~1992)
제16대
죄르지 마르쿠스
(1992~1995)
제17대
지그문트 바우만
(1995~2003)
제18대
헤르베르트 회르츠
(2003~2011)
제19대
이슈트반 메자로스
(2011~2013)
제20대
하인리히 오피츠
(2013~2014)
제21대
볼프강 아이히호른
(2014~2017)
제22대
아그네스 헬러
(2017~2019)
대행
악셀 호네트
(2019~2022)
제23대
루도 마르텐스
(2022~現)
게오르크 루카치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선정 라트 연방의 인물
[ 펼치기 · 접기 ]
2022년 개국 100주년을 맞아 지상파 방송사 ARR이 전체 언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라트 연방의 인물’을 선정.
인터넷과 휴대전화를 이용해 투표가 진행됐으며 라트 연방 인구 3억 5,000만 명 중 2억 명 이상이 투표에 참가했다. 1919년 이전에 활동한 인물의 경우 후보에서 배제되었다.
상위 10인
1위 2위 3위 4위 5위
로자 룩셈부르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게오르크 루카치 발터 벤야민 안드레이 사하로프
6위 7위 8위 9위 10위
카렐 코지크 아돌프 히틀러 헤르베르트 프람 에르빈 롬멜 클라라 체트킨
11위 ~ 100위
[ 펼치기 · 접기 ]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위대한 독일인 (ZDF)

마르크스주의
Marxismus
[ 펼치기 · 접기 ]
정통 마르크스주의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쥘 게드 · 카를 카우츠키 · 로자 룩셈부르크 · 카를 리프크네히트 · 게오르기 플레하노프 · 블라디미르 레닌 · 게오르크 루카치 · 안토니오 그람시
마르크스-룩셈부르크주의
정통 게오르크 루카치 · 헤르베르트 회르츠 · 에리히 한 · 알베르트 코징 · 아르투어 바움가르텐 · 니콜라이 차골로프
부다페스트 학파 이슈트반 메자로스 · 아그네스 헬러 · 죄르지 마르쿠스 · 카렐 코지크체코-슬로바키아
프랑크푸르트 학파 테오도어 아도르노 · 발터 벤야민 · 막스 호르크하이머 ·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 악셀 호네트
수정 마르크스주의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 오토 바우어 · 빅토어 아들러 · 프리드리히 아들러 · 카를 레너 · 루돌프 힐퍼딩
가능주의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 장 조레스
서구 마르크스주의
구조주의 앙리 르페브르 · 루이 알튀세르 · 에티엔 발리바르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샹탈 무페 · 에르네스토 라클라우
초좌파주의
좌파 공산주의 안톤 판네쿡네덜란드/독일 좌파공산주의 · 아마데오 보르디가이탈리아 좌파공산주의
자율주의* 안토니오 네그리 · 질 들뢰즈 · 펠릭스 가타리 · 조르조 아감벤
신유물론* 캉탱 메이야수 · 마누엘 데란다 · 로지 브라이도티 · 엘리자베스 그로즈
* 마르크스주의인지에 대해 논란 있음
기타
분석 마르크스주의 G. A. 코헨
각 학문 분야
생태철학 존 벨라미 포스터 · 사이토 고헤이
여성학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앨리슨 재거 · 낸시 프레이저
윤리학 G. A. 코헨 · 에리히 프롬
미학 게오르크 루카치 · 발터 벤야민 · 테오도어 아도르노 ·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역사학 E. P. 톰슨 · 베네딕트 앤더슨 · 에릭 홉스봄
지리학 데이비드 하비


공산주의
[ 이념 전반 ]
[ 이념 전반 ]
분파 마르크스-룩셈부르크주의
룩셈부르크주의 · 그람시주의 · 레닌주의 · 트로츠키주의 · 현실사회주의 · 슈트라서주의 · 가오강주의 · 상카라주의 · 은크루마주의 · 남아메리카 사회주의 · 호자주의

중도 마르크스주의
사회민주주의(개량주의) · 베른슈타인주의 ·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 · 부하린주의(인간의 얼굴을 한 사회주의 · 일리에스쿠주의 · 티토주의 · 시장사회주의 · 덩샤오핑 사상 · 클린턴주의 · 조봉암 노선)

신마르크스주의
프람주의 · 알튀세르주의(풀란차스주의 ·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 루카치주의 · 곤살로 노선 · 간디 사상

초좌파주의
들뢰즈주의(자율주의) · 아나키즘(크로포트킨주의 · 마흐노 노선 · 스페인 아나키즘) · 마인호프 노선 · 좌파 공산주의(판네쿡주의 · 보르디가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 · 로자 룩셈부르크 · 카를 리프크네히트 · 그레고어 슈트라서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아돌프 히틀러 · 하인리히 힘러 · 헤르베르트 프람 · 에리히 호네커 · 오토 바우어 · 루돌프 힐퍼딩 · 니콜라이 차골로프 · 게오르크 플레하노프 · 블라디미르 레닌 · 쿤 벨러 · 죄르지 루카치 · 펠릭스 제르진스키 · 모리스 토레즈 · 루이 알튀세르 · 에티엔 발리바르 · 오토 빌레 쿠시넨 · 루도 마르텐스 · 아마데오 보르디가 · 안토니오 그람시 · 팔미로 톨리아티 · 엔리코 베를링구에르 · 산티아고 카리요 · 니코스 풀란차스 · 게오르기 게오르기우데지 · 이온 일리에스쿠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알렉산데르 둡체크 · 가오강 · 덩샤오핑 · 미야모토 겐지 · 다니엘 오르테가 · 오스카 니에메예르 · 피델 카스트로 · 체 게바라 · 토마 상카라 · 줄리어스 니에레레 · 과메 은크루마 · 넬슨 만델라 · 조봉암 · 박헌영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헤겔주의 · 변증법적 유물론(양질전화 · 부정의 부정 · 대립물의 통일) · 사적 유물론(유적 존재 · 상부구조와 하부구조) · 정치경제학(주류 경제학) · 노동가치론 · 이데올로기론 · 여성해방론 · 민족해방론 · 생태사회주의 · 프롤레타리아트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통일전선(반파쇼 인민전선 · 반제반봉건 통일전선) · 인민민주주의 · 가능-불가능 논쟁(가능주의 · 불가능주의) · 반자본주의 · 반제국주의 · 혁명적 사회주의 · 사회주의 법 · 사회주의 문화 · 무신론
정당 공산당 · 사회민주당 · 사회당
상징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적색 테러 · 통일전선 · 룩셈부르크주의 · 프람주의 · 부하린주의 · 간디 사상
[ 정당 · 조직 ]
[ 정당 · 조직 ]
현존 정당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볼드체 :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코민테른 · 세계 반식민주의 플랫폼 · 베를린 조약 기구
[ 국가 ]
[ 국가 ]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가이아나

그레나다

그리스

나미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팔

노르웨이

니카라과

덴마크

라오스

라트 연방

러시아

루마니아

만주

말레이시아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몽골

베냉

베네수엘라

베트남

볼리비아

북마케도니아

북일본

브라질

세르비아

소말리아

수리남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연립정부의 구성원으로 집권한 국가
붕괴된 국가

구 유고 연방

라트 연방
관련 문서

제3-4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장
게오르크 루카치
Georg Lukacs
본명 죄르지 루카치
(György Lukács)
이명 세게딘 남작 루카치, 게오르크 베나르트
(Georg Bernard Baron Lukács von Szegedin)
출생 1885년 4월 1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스라이타니아 부다페스트
사망 1971년 6월 4일 (향년 86세)
헝가리 SRR 부다페스트
국적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트란스라이타니아)
라트 연방 ( 헝가리 SRR)
재임기간 제3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장관급)
1945년 12월 17일 ~ 1946년 10월 1일
제4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장관급)
1949년 9월 1일 ~ 1952년 12월 31일
부모 아버지 뢰빙게르 요제프
학력 콜로스바르 헝가리 왕립 대학교 (철학 / 박사)
베를린 대학교 (철학 / 박사)
헝가리 왕립 대학교 부다페스트 (철학 / 박사)
종교 유대교루터교무종교 (무신론)
소속 정당 라트 연방 사회민주당
사상 신칸트주의마르크스-룩셈부르크주의

개요

라트 연방의 철학자, 미학자, 정치인. 20세기 초반 라트 연방 마르크스주의 학계를 이끈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헝가리 인물로, 흔히 알려져있는 "게오르크 루카치"는 독일계 이름이다. 헝가리계 이름은 "루카치 죄르지"이다.

생애

188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부다페스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유대계 은행가이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귀족인 뢰빙게르 요제프 세게딘 1대 남작이었으며, 뢰빙게르 요제프가 1890년 헝가리계 사회 편입을 목적으로 유대계 성을 버리고 헝가리식 성인 루카치를 채택하며 뢰빙게르 죄르지는 루카치 죄르지가 되었다. 1907년, 유대교에서 루터교로 개종했다.

1904년, 프란츠 요제프 대학에 진학했다. 그는 몇년 후 독일로 유학을 떠났고 베를린 대학교(오늘날 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베를린 캠퍼스)에서 수학했다. 그곳에서 게오르크 짐멜, 막스 베버 등 보수 성향의 사회학도들과 긴밀히 교류했다. 루카치는 보수적인 집안 분위기와 출신 성분, 동료들의 영향으로 처음에는 보수주의자였고 철학적으로 신칸트주의 학파에 속하게 되었다. 독일 유학 중, 그는 아버지로부터 남작 작위를 물려받아 제2대 세게딘 남작이 되었다. 1915년, 그는 그의 저작 중 가장 유명한 <소설의 이론>을 작성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점차 보수주의에서 멀어지게 되었으며, 1919년 독일 혁명을 계기로 우파에서 좌파로 전향하여 마르크스주의자가 된다.

1919년 헝가리에서도 혁명이 일어나자, 그는 쿤 벨러를 도와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을 건국했고 공화국의 첫번째 문화상으로 취임했다. 이때 불과 34세에 불과했다. 그는 흑적내전에서 주요 지휘관, 즉 정치장교로 복무했다. 1922년 라트 연방이 개국된 후 그는 헝가리 SRR의 초대 문화상이 되었다. 그는 라트 연방 건국 후 스스로 귀족 작위를 포기했는데 때문에 그는 별명이 "붉은 남작"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쿤 벨러의 강압적인 스타일과 비도덕적 통치에 반발하며 그와 멀어졌고 1927년 문화상을 자진 사임했다. 1927년부터 1931년까지 코민테른에서 근무하며 유럽 전역을 떠돌다가, 1931년 로자 룩셈부르크의 요청으로 베를린으로 돌아와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의 연구원직을 수락했다. 이때 그는 여러 저작을 남겼으며, 마르크스주의 미학 이론을 발달시켰다. 1930년대 대테러 당시 슈트라서와 사이가 나빴으나 쿤 벨러와 사이가 더 나빴던 탓에 쿤이 숙청당하는 와중에 본인은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는 1945년까지 ML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1945년부터 1946년까지 연구소장을 지냈다. 1946년 유대인 강제이주 당시 항의하는 의미에서[1] 연구소장 직위를 내려놓았으나, 1949년 슈트라서의 사망 이후 복직해 1952년까지 재직했다.

1953년, 헝가리로 재입국하여 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부다페스트 캠퍼스에서 철학과 강사이자 학과장으로 재직하였다. 그는 얼마 후 대학의 총장이 되었다. 루카치는 여러 후학을 양성하는데, 이들은 부다페스트 학파라는 휴머니즘적 마르크스주의를 이루게 된다. 1956년, 그는 개혁적인 너지 임레의 헝가리 SRR 내각에서 다시 문화상을 맡았다. 그러나 너지가 너무 우파적이라고 생각한 그는 몇달 가지 않아 문화상을 사임했다. 1960년, 루카치는 마르크스-엥겔스 연구소의 명예소장으로 임명되어 죽을때까지 재직했다.

1968년, 문화대혁명이 일어나자 그는 문화대혁명과 헤르베르트 프람을 지지하는 성명을 냈다. 이것으로 라트 연방 사회민주당에서 거의 제명될뻔하지만, 그 누구도 그를 제명하지 못했다. 도리어 루트비히 에르하르트에게 중앙 연방정부의 문화상을 지내줄 것을 요청받기도 했으나 늙은 나이 탓에 스스로 거부했다. 말년에 바더 마인호프를 비롯한 좌파의 정신적 지주로 받들여진 그는 1971년 6월, 회고록 저술 도중 부다페스트에서 세상을 떠났다.

사상

루카치는 총체성(totalität)을 세상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본다. 총체성은 사회적, 역사적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세계사적인 총체성 속에서 개개 사물과 사건은 그 맥락에 의거하여 의미를 얻는다. 횔덜린과 마찬가지로 루카치에게 있어 총체성은 고대 그리스의 이상과 같은 것이다. 소설의 이론(1916)에 따르면,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인간은 자연과 밀접하게 연관되었고, 인간과 세계는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처럼 연결되었다. 즉, 인간은 사회 역사의 전체적인 맥락 하에서 의미를 가졌던 것이다. 그러나 근대 산업시대로 넘어오게 되면서 인간은 더 이상 공동체와 자연, 사회적 관계 속에서 통합된 존재가 아니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현대 사회에서 총체성이 무너졌다고 본다.

마르크스주의의 시대로 넘어오면서, 그는 이러한 근대 사회에 대한 비판을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승화시켰다. 그는 자본주의 사회가 물화(物化; verdinglichung)의 특성을 지닌다고 본다. 자본주의적 생산양식 아래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분리되고, 나아가 생산물이 재화, 화폐, 상품의 기능을 하게 되면서 생산자와 분리된다. 따라서 자본주의는 모든 것을 물질적 가치로만 인식하게 해 과거의 숭고한 가치들을 금전적 가치로 전화시킨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루카치는 인격화(personifizierung)를 제안한다. 인격화는 물화와 반대되는 의미이다.

역사와 계급의식(1923)에서 이러한 반자본주의적인 극복을 할 수 있는 주체는 결국 프롤레타리아트 계급 뿐이라고 주장한다. 부르주아 계급과 달리, PT 계급은 역사적인 총체성에 있어 물화를 극복하고 자본주의를 패퇴시키는 자신의 역사적 맥락에서의 역할을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향후 발달할 역사의 유일한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학으로 들어가자면, 그는 예술의 역할을 역사적인 것으로 파악한다. 역사적인 총체성의 맥락에 있어 개별자라고 볼 수 있는 예술 역시 그 의미를 부여받는다. 부르주아적인 미학(이른바 "소부르주아지적인 아틀리에")은 역사의 일부 단편적인 사실만을 조잡하게 취하여 현실 세계를 제대로 담아낼 수 없다. 반면,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은 역사를 전체적인 것으로 해석해, 그 속에서 노동자의 역할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관람자는 자신이 총체성의 맥락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깨닫고 계급의식을 갖추게 된다. 그 점에서 루카치는 리얼리즘적 예술은 그 자체로 혁명적 역할을 한다고 본다.

평가

그는 마르크스주의 해석에 있어 사적 유물론을 연구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변증법적 유물론과 정치경제학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반면, 역사적 유물론에는 큰 관심을 기울였다. 따라서 서구 마르크스주의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는 주류 정치경제학의 이론에 대해 크게 반기를 들지 않았으며 궁극적으로 마르크스-룩셈부르크주의에 속하였다. 대부분의 학자에 의해 초좌파적인 경향으로 지적되었던 루이 알튀세르 등과 달리 그는 유럽의 여러 명망있는 학술지에 의해 논문이 개재되었다.

2019년 ARR에서 선정한 "가장 위대한 라트 연방의 인물" 3위로 꼽히고, 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부다페스트 캠퍼스에서 그를 기리는 행사가 매년 열리는 것은 이러한 영향이라고 볼 수 있다.

조선에서 영향력이 강한 학자로 꼽힌다. 그는 가라타니 고진, 발터 벤야민과 더불어 국문학 이론 연구에 있어 가장 많이 언급되는 학자로 평가받고 있다.

여담


  1. 하지만 그는 시오니즘에도 지지를 보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