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st 1968 (토론 | 기여) |
Communist 1968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79번째 줄: | 79번째 줄: | ||
=== 일본 참의원(100석) === | === 일본 참의원(100석) === | ||
=== 일본 중의원(435석) === | === 일본 중의원(435석) === | ||
== 역사 == | |||
{| class="wikitable" style=" | === 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개신시대 이후) === | ||
! colspan="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대수 | |||
! 초상화 | |||
! 이름<br>{{small|(출생 - 사망)}} | |||
! 임기 | |||
! colspan="2" | 정당 | |||
! 선거 | |||
! 부총리 | |||
|- | |- | ||
| | ! 1 | ||
| [[파일:소류_아스카_랑그레이.jpg|150px]] | |||
|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br>''조지 워싱턴''<br>{{small|(2001–2068)}} | |||
| [[2022년]] [[10월 19일]]<br>–<br>[[2027년]] | |||
| style="background:#4CB5A2;" | | |||
| [[개신당]] | |||
| 2022<br>–<br>2025 | |||
| [[스즈미야 하루히]] | |||
|- | |- | ||
! | ! 2 | ||
| [[파일:스즈미야 하루히짱.png|150px]] | |||
| [[스즈미야 하루히]]<br>''토머스 제퍼슨''<br>{{small|(1995–2073)}} | |||
| [[2027년]]<br>–<br>[[2033년]] [[1월 20일]] | |||
| style="background:#4CB5A2;" | | |||
| [[개신당]] | |||
| 2027<br>–<br>2028<ref>수상공선제 시행</ref> | |||
| [[히구치 마도카]] | |||
|- | |- | ||
! 3 | |||
| [[파일:히구치_마도카.png|150px]] | |||
| | | [[히구치 마도카]]<br>''존 퀸시 애덤스''<br>{{small|(2003–2081)}} | ||
| style="background:# | | [[2033년]] [[1월 20일]]<br>–<br>[[2037년]] [[1월 20일]] | ||
| style="background:#0000ff;" | | |||
| | | [[민주당]] | ||
| 2032 | |||
| [[에렌 예거]] | |||
|- | |- | ||
! | ! 4 | ||
| | | [[파일:사토_일레이나_프로필_(개신).png|150px]] | ||
| [[사토 일레이나]]<br>''앤드루 잭슨''<br>{{small|(1992–2077)}} | |||
| [[2037년]] [[1월 20일]]<br>–<br>[[2045년]] [[1월 20일]] | |||
| style="background:#ff0000;" | | |||
| [[공화당]] | |||
| 2036<br>–<br>2040 | |||
| [[니시키기 치사토]] | |||
|- | |- | ||
! | ! 5 | ||
| [[파일:니시키기_치사토_프로필_(개신).png|150px]] | |||
| [[니시키기 치사토]]<br>''마틴 밴 뷰런''<br>{{small|(1994–2060)}} | |||
| [[2045년]] [[1월 20일]]<br>–<br>[[2049년]] [[1월 20일]] | |||
| style="background:#ff0000;" | | |||
| [[공화당]] | |||
| 2044 | |||
| [[사일런스 스즈카]] | |||
|- | |- | ||
| | ! 6 | ||
| [[파일:스에히로_아나스타샤_프로필_(개신).png|150px]] | |||
| [[스에히로 아나스타샤]]<br>''윌리엄 헨리 해리슨''<br>{{small|(1999–2049)}} | |||
| [[2049년]] [[1월 20일]]<br>–<br>[[2049년]] [[2월 20일]]<ref>재임 중 감기로 사망 (30일 재임)</ref> | |||
| style="background:#0000ff;" | | |||
| [[민주당]] | |||
| 2048 | |||
| [[니시미야 쇼코]] | |||
|- | |- | ||
! | ! 7 | ||
| [[파일:니시미야_쇼코.png|150px]] | |||
| [[니시미야 쇼코]]<br>''헨리 클레이''<br>{{small|(1996–2070)}} | |||
| [[2049년]] [[2월 20일]]<br>–<br>[[2053년]] [[1월 20일]] | |||
| style="background:#0000ff;" | | |||
| [[민주당]] | |||
| ─<ref>전임자 [[스에히로 아나스타샤]] 사망으로 인해 잔여 임계를 계승</ref> | |||
| ''공석'' | |||
|- | |- | ||
! | ! 8 | ||
| [[파일:오이겐.jpg|150px]] | |||
| [[니시미야 쇼코]]<br>''제퍼슨 데이비스''<br>{{small|(1999–2067)}} | |||
| [[2053년]] [[2월 20일]]<br>–<br>[[2061년]] [[1월 20일]] | |||
| style="background:#ff0000;" | | |||
| [[공화당]] | |||
| 2052<br>–<br>2056 | |||
| [[블라디레나 밀리제]] | |||
|- | |- | ||
! | ! 9 | ||
| [[파일:하츠네 미쿠.webp|150px]] | |||
| [[하츠네 미쿠]]<br>''에이브러햄 링컨''<br>{{small|(2007–2065)}} | |||
| [[2061년]] [[1월 20일]]<br>–<br>[[2065년]] [[4월 15일]]<ref>재임 도중 강간 합법화 문제로 인해 반대(관동)와 찬성(관서) 사이의 첨예한 대립,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관서가 일본국에서 분리독립해 일본맹방 건국, 이로 인해 동서전쟁 발발</ref><ref>정치적 반대파의 총격으로 사망</ref> | |||
| style="background:#0000ff;" | | |||
| [[민주당]] | |||
| 2060<br>–<br>2064 | |||
| [[미야미즈 미츠하]]<br>–<br>[[아그네스 타키온]] {{small|(거국내각)}} | |||
|- | |- | ||
| | ! 10 | ||
| | | [[파일:사랑해.jpg|150px]] | ||
| | | [[아그네스 타키온]]<br>''앤드루 존슨''<br>{{small|(1998–2070)}} | ||
| | | [[2065년]] [[1월 20일]]<br>–<br>[[2068년]] [[2월 24일]]<ref>상하원에서 표결로 탄핵됨.</ref> | ||
| '' | | style="background:#ff0000;" | | ||
| [[공화당]] | |||
| ─<ref>전임자 하츠네 미쿠 사망으로 잔여 임기를 계승</ref> | |||
| ''공석'' | |||
|- | |- | ||
| | ! 11 | ||
| | | [[파일:아케미_호무라_프로필.jpg|150px]] | ||
| | | [[아케미 호무라]]<br>''헨리 키신저''<br>{{small|(1998–2098)}} | ||
| | | [[2068년]] [[2월 24일]]<br>–<br>[[2098년]] [[9월 23일]] | ||
| | | style="background:#808080;" | | ||
| [[무소속]] | |||
| ─<ref>전임자 아그네스 타키온 탄핵으로 상하원 만장일치의 표결로 종신 친정을 감행</ref> | |||
| ''공석'' | |||
|- | |- | ||
|} | |} | ||
=== 역대 일본 내각부총리 (개신시대 이후) === | |||
== 2026년 당대회 == | == 2026년 당대회 == |
2023년 9월 23일 (토) 19:14 판
1.포털
- 연습장:Communist 1968 - 리좀
- 연습장:Communist 1968/1 - 레이와 개신
- 연습장:Communist 1968/2 - 누벨 외로프
- 연습장:Communist 1968/3 - 신공
- 연습장:Communist 1968/4 - 천안문, 5월 35일
- 연습장:Communist 1968/5 - 기타 모음집
2.United States of Japan
議会は、天皇の私なしに国交を定め、又は自由な信仰行為を禁止する法律を制定することができない。 また、発言、出版の自由や臣民が平和に集会できる権利及び不満事項の救済のために政府に請願できる権利を制限する法律を制定することはできない。 일본합중국 수정헌법 제1조 |
よく規律された民兵隊は自由な州の安全保障に不可欠であるため、武器を所蔵し携帯する臣民の権利は侵害されない。 일본합중국 수정헌법 제2조 |
2.1.미국 정부와 일본 신정부 조직 체계의 비교
미국 정부 | 일본 신정부 |
---|---|
천황가 | |
미국 헌법 | 천황 |
미국 헌법의 신성화 = 일본 천황의 신성화 (헌법의 정당성이 천황에서 나오며 천황의 뜻이 법이라는 해석) | |
정부 요인 | |
미국 대통령 | 내각총리대신 |
미국 부통령 | 부총리 |
수상공선제로 총리대신-부총리 러닝메이트제 | |
상원의장 | 참의원장 (부총리 겸임) |
하원의장 | 중의원장 (다수당 원내대표 겸임) |
대법관 9명 | 대법관 9명 (동일) |
2.2.공화당 vs 민주당
공화(共和)는 반드시 공화국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말그대로 한자의 뜻 그대로 "함께 화합한다"는 의미로 천황제와 병립 가능한 이념이며 천황제를 반대하기 위함이 아니다. 하토야마 유키오 전 내각총리대신 |
인사 | 공화당 | 민주당 |
---|---|---|
전국위원회 의장[1] | ||
상원 원내대표[2] | 사토 일레이나 (오사카) |
스즈미야 하루히 (도쿄) |
상원 원내총무[3] | 히구치 마도카 (도쿄) | |
하원 원내대표 | ||
하원 원내총무 | ||
상원의장 | ||
하원의장 |
2.3.일본 참의원(100석)
2.4.일본 중의원(435석)
3.역사
3.1.역대 일본 내각총리대신 (개신시대 이후)
대수 | 초상화 | 이름 (출생 - 사망) |
임기 | 정당 | 선거 | 부총리 | |
---|---|---|---|---|---|---|---|
1 | ![]() |
소류 아스카 랑그레이 조지 워싱턴 (2001–2068) |
2022년 10월 19일 – 2027년 |
개신당 | 2022 – 2025 |
스즈미야 하루히 | |
2 | ![]() |
스즈미야 하루히 토머스 제퍼슨 (1995–2073) |
2027년 – 2033년 1월 20일 |
개신당 | 2027 – 2028[4] |
히구치 마도카 | |
3 | ![]() |
히구치 마도카 존 퀸시 애덤스 (2003–2081) |
2033년 1월 20일 – 2037년 1월 20일 |
민주당 | 2032 | 에렌 예거 | |
4 | ![]() |
사토 일레이나 앤드루 잭슨 (1992–2077) |
2037년 1월 20일 – 2045년 1월 20일 |
공화당 | 2036 – 2040 |
니시키기 치사토 | |
5 | ![]() |
니시키기 치사토 마틴 밴 뷰런 (1994–2060) |
2045년 1월 20일 – 2049년 1월 20일 |
공화당 | 2044 | 사일런스 스즈카 | |
6 | ![]() |
스에히로 아나스타샤 윌리엄 헨리 해리슨 (1999–2049) |
2049년 1월 20일 – 2049년 2월 20일[5] |
민주당 | 2048 | 니시미야 쇼코 | |
7 | ![]() |
니시미야 쇼코 헨리 클레이 (1996–2070) |
2049년 2월 20일 – 2053년 1월 20일 |
민주당 | ─[6] | 공석 | |
8 | ![]() |
니시미야 쇼코 제퍼슨 데이비스 (1999–2067) |
2053년 2월 20일 – 2061년 1월 20일 |
공화당 | 2052 – 2056 |
블라디레나 밀리제 | |
9 | ![]() |
하츠네 미쿠 에이브러햄 링컨 (2007–2065) |
2061년 1월 20일 – 2065년 4월 15일[7][8] |
민주당 | 2060 – 2064 |
미야미즈 미츠하 – 아그네스 타키온 (거국내각) | |
10 | ![]() |
아그네스 타키온 앤드루 존슨 (1998–2070) |
2065년 1월 20일 – 2068년 2월 24일[9] |
공화당 | ─[10] | 공석 | |
11 | ![]() |
아케미 호무라 헨리 키신저 (1998–2098) |
2068년 2월 24일 – 2098년 9월 23일 |
무소속 | ─[11] | 공석 |
3.2.역대 일본 내각부총리 (개신시대 이후)
4.2026년 당대회
- ↑ 전국 단위의 선거 전략을 구상하는 선거 참모의 역할이다.
- ↑ 정당의 전반적인 표결 방향을 이끌고 정책을 내세우는 역할이다.
- ↑ 각 의원들의 표를 단속하고 이탈표가 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이다.
- ↑ 수상공선제 시행
- ↑ 재임 중 감기로 사망 (30일 재임)
- ↑ 전임자 스에히로 아나스타샤 사망으로 인해 잔여 임계를 계승
- ↑ 재임 도중 강간 합법화 문제로 인해 반대(관동)와 찬성(관서) 사이의 첨예한 대립, 오사카를 중심으로 한 관서가 일본국에서 분리독립해 일본맹방 건국, 이로 인해 동서전쟁 발발
- ↑ 정치적 반대파의 총격으로 사망
- ↑ 상하원에서 표결로 탄핵됨.
- ↑ 전임자 하츠네 미쿠 사망으로 잔여 임기를 계승
- ↑ 전임자 아그네스 타키온 탄핵으로 상하원 만장일치의 표결로 종신 친정을 감행
- ↑ 사퇴(2024년 8월 29일) 당시 누적 득표 89,032표(3.10%).
- ↑ 선호투표제 적용
- ↑ 간사장
- ↑ 대표대행
- ↑ 정책조사회장
- ↑ 총무회장
- ↑ 기타무라 고쿠세이 의원을 포함한 당내 극좌파.
- ↑ 건강 상의 이유로 회의에 참석하지 않고 있다. 사실상 명예직인 셈.
- ↑ 지역구 ?석, 비례대표 ?석
- ↑ 개신당 측에 협력하는 무소속 참의원 의원 11명도 존재한다.
- ↑ 지역구 75석, 비례대표 75석
- ↑ 포스터 속 인물은 책임 당대표 모리 요시로.